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hellcode
- Web
- backend
- ChatGPT
- 러닝 스칼라
- c
- BOF
- hackerschool
- php
- hackthissite
- BOF 원정대
- 챗GPT
- Scala
- 딥러닝
- Linux
- 인공지능
- flask
- 웹해킹
- 파이썬
- webhacking
- hacking
- mysql
- c++
- 러닝스칼라
- Python
- Javascript
- 경제
- 백엔드
- deep learning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2)
jam 블로그
* 사용자 추가 (adduser or useradd) adduser [ID] ex) adduser test_id * 암호 생성 (passwd) passwd [ID] ex) passwd test_id * 그룹 생성 groupadd [GroupName] ex) groupadd kid1412 * 그룹에 사용자 추가 usermod -g groupa usera - groupa그룹에 usera 라는 멤버 등록 usermod -G groupa, groupb usera - 그룹 groupa, groupb에 동시 등록 usermod -G groupa usera - 그룹 재지정 (groupb에서 탈퇴됨)
yum update 다음과 같은 에러표시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You have enabled checking of packages via GPG keys. This is a good thing. However, you do not have any GPG public keys installed. You need to download the keys for packages you wish to install and install them. You can do that by running the command: rpm --import public.gpg.key For more information contact your distribution or package provider. "public.gpg.key..
처음 시작 시 어떠한 개발 환경을 쓸 것인지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제대로 설정하면 편하겠지만 잘못 선택했을 경우 또는 여러 개발 환경을 써야한다면 바꿔주어야 하는데 그럴 경우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그림 1] 도구 >> 설정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TOOL >> Import and Export Settings) [그림 2] 모두 다시 설정 선택 (Reset all Settings) [그림 3] 저장을 해서 여러가지 저장해 놓고 쓸수 있고 아님 새로 설정. [그림 4] 자기가 원하는 개발 설정
1) CPU 레지스터 1> 범용 레지스터 EAX : 곱셈과 나눗셈 명령에서 자동으로 사용되고 함수의 리턴값이 저장되는 용로도로 사용된다. EBX : ESI나 EDI와 결합하여 인덱스에 사용된다. ECX : 반복 명령어 사용시 반복 카운터로 사용된다. ECX 레지스터에 반복할 횟수를 지정해 놓고 반복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EDX : EAX와 같이 쓰이며 부호 확장 명령 등에 쓰인다. ESI : 데이터 복사나 조작시 Source Data의 주소가 저장된다. ESI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주소의 데이터를 EDI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주소로 복사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EDI : 복사 작업시 Destination의 주소가 저장된다. 주로 ESO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주소의 데이터가 복사된다. ESP : 하나의 스..